[작성자:] darius
-
소나무좀(Mountain Pine Beetle)
다음은 한성나무종합병원 홈페이지에 게시할 소나무좀에 관한 콘텐츠 예시입니다. 이 콘텐츠는 소나무좀의 특징, 피해, 진단 및 관리 방법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소나무좀이란? 소나무좀은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의 껍질 아래에 서식하며 나무를 약화시키는 해충으로, Dendroctonus ponderosae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나무, 해송, 잣나무 등 다양한 수종에 피해를 입히며,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침엽수림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알려져…
-
날개무늬병(White root rot, Violet root rot)
나무의 세력이 약화되고 잎이 감소하며 황색을 띔. 낮 동안 시들고 밤에는 다시 회복되는 증상이 반복. 심할 경우 조기 낙엽 발생 및 나무 고사.
-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Septoria leaf spot of zelkova)
기주 병원균 피해 증상 병징 및 표징 병환 과정 병원균 생태와 병리학적 특징 관리 방안
-
가문비왕나무좀
가문비왕나무좀 소나무, 해송, 젓나무, 솔송나무, 편백나무, 섬잣나무, 밤나무, 황벽나무, 가래나무, 느티나무, 삼나무, 팽나무, 나한백, 개서어나무, 너도밤나무, 신갈나무, 물참나무, 일본목련, 벚나무, 예덕나무, 칠엽수, 빗죽이나무, 감나무, 쪽동백 등의 대표적인 해충으로 기주범위가 광범위해 각종 침엽수, 활엽수를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이다. 목질부로 침입해 갱도 내에 암브로시아균을 배양하기 때문에 수세가 현저하게 쇠약해져 수목이 고사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생활권 수목에서 이식 후…
-
향나무
꽃말 “변함없는 사랑~” 블루엔젤 ❚학명: Juniperus scopulorum ‘Blue Angel’ ❚영명: Blue Angel ❚과명: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개화시기: 4월 중, 자웅이주 ❚열매: 10월 경 ❚특징: 내한성, 내공해성, 천근성(바람에 약함) ❚수고: 최대 5m ❚주의사항: 정기적인 관수, 병해충, 전정, 비배 식재환경 및 특성 하루 6시간 이상의 직사광선, 채광 필요. 다양한 토질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나 Ph는 중성~알칼리에서 더 잘 자람. 추위에…
-
가이즈까향나무
번식 실생번식과 삽목번식이 모두 가능하나 삽목번식을 주로 한다. 실생번식은 11월에 잘 익은 열매를 채취해 과육을 제거하고 종자를 채종한다. 종자는 발아촉진 처리를 해 노천매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볏집을 덮어 건조하지 않게 관리한다. 발아하는데 시일이 걸리며 발아율이 낮다. 삽목번식은 3~4월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12~15cm의 길이로 잘라 기부의 잎을 1/3 정도 제거한 후 삽목한다. 토양과 공기의 습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