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무늬병(White root rot, Violet root rot)

날개무늬병의 종류

  1. 자주날개무늬병 (紫紋羽病)
    • 병원균: Helicobasidium mompa Tanaka
    • 특징: 뿌리 표면에 자홍색의 실 같은 균핵 형성.
  2. 흰날개무늬병 (白紋羽病)
    • 병원균: Rosellinia necatrix (Hartig) Berlese
    • 특징: 뿌리 표면에 백색의 실 같은 균핵 형성.
    • 주요 기주: 사과, 배, 복숭아, 매실 등 전 과종.

흰날개무늬병 – 출처: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병징

  • 나무의 세력이 약화되고 잎이 감소하며 황색을 띔.
  • 낮 동안 시들고 밤에는 다시 회복되는 증상이 반복.
  • 심할 경우 조기 낙엽 발생 및 나무 고사.

병원균 생태 및 전염 경로

  1. 병원균은 감염된 뿌리와 잔재물에서 생존하며 토양 내에서 장기간 생존 가능.
  2. 뿌리 접촉이나 오염된 묘목을 통해 전염.
  3. 흰날개무늬병의 경우 병원균은 담포자를 형성하며, 건조 및 다양한 pH 조건에서도 생존.
  4. 감염은 주로 뿌리 표면과 내부 조직에서 발생하며, 생장 중인 뿌리를 통해 확산.

방제법

  1. 토양 및 재배지 관리
    • 과수원 조성 시 뿌리와 잔재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토양 소독.
    • 묘목 심기 전, 침지 소독(예: 온수 소독)을 시행하여 초기 감염 예방.
  2. 등록 약제 사용
    • 자주날개무늬병: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흰날개무늬병: 베노밀 수화제.
  3. 환경적 관리
    • 유기물 사용량 증대, 배수 개선, 관수 조절로 급격한 건조 및 과습 방지.
    • 과도한 전정, 과다 결실 등 나무 세력을 약화시키는 작업을 피함.
    • 부숙퇴비를 사용해 토양 건강 증진.
  4. 물리적 방제
    • 토양 태양열 소독: 투명 플라스틱으로 덮어 토양 온도를 40~50°C까지 상승시켜 병원균 제거.
    • 온수 소독: 50°C 이상의 온수를 뿌리 부근에 투입하여 병원균 제거.
  5. 생물학적 방제
    • Trichoderma 속 길항균 사용: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고 병 발생 감소.
    • 길항 박테리아(PseudomonasBacillus 속): 병원균 생장 억제 효과 확인.
    • 미코바이러스: 병원균 독성을 낮추는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병 방제.
  6. 생태적 접근법
    • 잡초 제거: 잡초가 병원균의 대체 숙주가 될 수 있으므로 철저히 제거.
    • 생태적 설계: 병원균 길항 미생물이 번성할 수 있는 토양 환경 조성.
    • 유익한 미생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유기물 추가.

특이 사항

  1. 흰날개무늬병의 병원균인 Rosellinia necatrix는 약 400종 이상의 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배와 사과 재배지에서 심각한 피해를 유발함.
  2. 병원균은 감염된 뿌리뿐만 아니라 낙엽과 식물 잔해에서도 오랜 기간 생존 가능.
  3. Trichoderma와 같은 생물학적 방제제는 병원균 억제에 효과적이며, 환경 친화적 대안으로 주목받음.
  4. 온수 소독과 태양열 소독은 병원균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험 결과 확인됨.

결론

날개무늬병은 과수원 및 나무 재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병해로, 철저한 방제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방제법(생물학적 방제, 물리적 방제)을 활용하면 병 발생률을 줄이고 나무의 생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자료나 구체적 컨설팅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문의하세요!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