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말 “변함없는 사랑~”
블루엔젤
❚학명: Juniperus scopulorum ‘Blue Angel’
❚영명: Blue Angel
❚과명: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개화시기: 4월 중, 자웅이주
❚열매: 10월 경
❚특징: 내한성, 내공해성,
천근성(바람에 약함)
❚수고: 최대 5m
❚주의사항: 정기적인 관수, 병해충, 전정, 비배
식재환경 및 특성
하루 6시간 이상의 직사광선, 채광 필요.
다양한 토질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나 Ph는 중성~알칼리에서 더 잘 자람.
추위에 강하나, 겨울철 한파에 일부 갈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바람막이 필요.
채광불량, 영하 10℃ 이하·지속적인 건조한 찬바람, 병해충 등에 의해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낙엽이 질 수 있음.
식재초기가 가장 민감하고 취약한 단계이며 대략 2년차 이후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됨.
※ 부족한 채광을 엽면 시비로 대체, 첫 겨울은 방풍을 위한 월동 작업이 필요함.
※ 뿌리 확장이 강해 다른 식물과의 거리를 고려
연간관리표
구분 | 1月 | 2月 | 3月 | 4月 | 5月 | 6月 | 7月 | 8月 | 9月 | 10月 | 11月 | 12月 | ||||||||||
생식 | 꽃 | 열매 | ||||||||||||||||||||
시비 | 유기질 | 엽면시비 | 복합 | 엽면시비 | ||||||||||||||||||
전정 | 정밀 | 통풍 | 고사지 제거 | |||||||||||||||||||
병해 | 녹병 | 잎마름병, 녹병 | 잎마름병 | |||||||||||||||||||
해충 | 하늘소, 혹파리 | 응애, 나방 | ||||||||||||||||||||
방제 | 1차 | 2차 | 3차 | 4차 | ||||||||||||||||||
관수 | 하고 예방 | |||||||||||||||||||||
월동 | 해체 | 바람막이 |
물관리
식재 후 2년간은 뿌리의 활착기간으로 최소 2주 간격으로 1회 충분히 물주기.
※ 물의 양은 토심 20cm깊이까지 충분이 적셔질 수 있도록 주당 4~5L
– 해빙이 되는 2월 중순~장만 전 후 까지는 오전 관수
– 9월부터 11월까지는 오후 관수 권장
3년차부터 겉흙이 말라있으면 물주기.
※ 과습에 취약하여 침수가 되면 쉽게 뿌리가 썩으므로 배수 체크는 반드시 필요함. 배수가 잘되지 않으면 하단부 가지가 말라들어감.
여름에 상단의 잎끝이 시들면 수분 부족 초기이므로 추가 관수. 3주간 비가 오지 않으면 반드시 관수 시행.
※ 가장 더운 여름철에 가장 많은 물을 필요로 함. 혹서기에는 양지는 주 2회 관수/그늘진 곳은 주 1회 관수
구분 | 1月 | 2月 | 3月 | 4月 | 5月 | 6月 | 7月 | 8月 | 9月 | 10月 | 11月 | 12月 | |||
관수 | 2주 간격 관수 | 1주간격 관수 | 장마 | 2주 간격 관수 |
비료
일반 시비: 2년간 1회 가을~초봄에 소량의 유기질 비료 또는 조경용 비료를 엷게 주변에 뿌려주면 엽량을 치밀하게 유지할 수 있음. 이때 시든 잎은 같이 제거할 것.
엽면 시비: 식재 위치가 채광이 부족하여 광합성에 의한 양분 생성․흡수가 적으므로 보완하기 위한 엽면 시비제를 생육기에 3~4회 살포함.
NO. | 용도 | 처 방 (약제, 관리방안) | 비 고 (상표명 등) |
1 | 광합성 촉진제 | 500배 희석 엽면시비 또는 관주 연 2회 | 썬모아(지오다임), 그린라이트(누보) 등 |
2 | 엽면 시비용 영양제 | 500배 희석 엽면시비 또는 관주 연 1~2회 | 에코비타 플러스(유원에코사이언스) |
전정
전정을 하지 않을 경우 3~5m까지 웃자랄 수 있어 연 2~3회 전정을 실시하여 원하는 높이(아트월 높이 기준 15cm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음.
① 3월~4월 초 : 2년차부터 수형 유지를 위한 정밀 전정, 가지의 초두부를 전정해 주어 여러 개의 새순을 받아 공간을 메우게 유지. ※ 강전정은 고사지외에는 금지
② 6월 : 내부에 적체된 낙엽화 된 잎 털어주기, 돌출되어 수형을 헤치는 신초 다듬기.
③ 동절기: 고사지 제거
그 외 전정 시기는 한 여름, 한겨울을 제외하고 연중 가능하나 수형을 다듬는 정도 시행.
※ 채광에 방해가 되는 수고가 높은 교목(팽나무, 대왕참나무 등)이 있는 경우 햇빛이 잘 들도록 해당 수목의 가지치기는 연중 시행 가능
병해충 정보
주요 해충과 피해증상
향나무하늘소 | 향나무하늘소 피해 | 향나무혹파리 | 향나무혹파리 피해 | |||||
향나무혹응애 피해 | 향나무잎응애 피해 | 공깍지벌레 피해 | ||||||
향나무알락명나방 | 향나무뿔나방 피해 | 향나무애굴깍지벌레 | 향나무뿔나방 피해 |
주요 병해과 피해증상
향나무녹병 | 향나무녹병 피해 | 향나무가지마름병 | 향나무잎마름병 |
환경장애
채광불량 | 과습피해 |
병해충 방제
향나무에 정식으로 등록된 약제는 없음. 나무병원에 의뢰하여 처방전을 받아 시용할 것.
병해
– 관행적인 방제로 병해는 과수에 발생하는 붉은별무늬병에 등록된 약제를 주로 사용
(디페노코나졸 수화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등)
해충
– 광범위 살충제로 진딧물류와 나방류에 모두 살충효과가 있는 약제를 사용
(아세타미프리드.루페뉴론 입상수화제, 에토펜프록스 유제 등)
– 고온기에 향나무 응애 방제 (아미트라즈 유제 등)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