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 감나무, 단풍나무, 벚나무류 등 활엽수를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다. 1화기 피해보다 2화기 피해가 심하며, 피해는 산림보다 가로수, 조경수, 정원수 등의 도시숲에서 심하다.

피해

유충이 어릴 때는 실을 토해 잎을 싸고 집단으로 모여서 갉아 먹다가 5령기 이후에는 분산해 잎맥을 제외한 잎 전체를 갉아 먹는다.

생태 특성

연 2~3회 발생하며, 수피 틈이나 지피물 밑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성충은 잎 뒷면에 무더기의 알을 낳는다. 주로 밤에 활동하고 주광성이 강하며 성충의 수명은 4~5일이다.

부화유충은 잎을 식해하다가 노숙유충이 되면 나무줄기를 타고 밑으로 내려오다 수피 틈이나 지피물 밑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방제

– 1,2세대 유충 발생 시기에 람다사이할로트린 수화제 1,000배액 또는 디플로벤주론 액상수화제 4,000배액 1회 살포

– 피해 발생 초기에 델타메트린 유제 또는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살포

– 5월 상순~8월 중순에 알 덩어리가 붙어 있는 잎을 채취 후 소각

– 성충활동기에 유아등이나 흡입포충기를 통해 성충을 유실함

– 10월경부터 수피 틈이나 지피물 밑에서 고치를 짓고 월동하는 번데기를 채취하여 제거

– 피해 초기에 유충이 집단으로 모여 가해하는 잎을 제거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