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로디아 순마름병(Diplodia pinea)

1. 병의 원인 및 병원체

디플로디아 순마름병은 곰팡이 병원체인 Sphaeropsis sapinea(동의어: Diplodia pinea)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병원균은 주로 오스트리아 소나무(Pinus nigra)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며, 다른 소나무 종들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병원균은 감염된 잎, 가지, 솔방울에서 월동하며, 이듬해 봄에 포자를 방출하여 새로 자라는 잎과 가지를 감염시킵니다.


2. 발생 환경 및 확산 경로

  • 환경 요인: 병원균의 활발한 활동은 습하고 따뜻한 기온에서 발생합니다. 가뭄, 강풍, 우박 등 나무에 물리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병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 전파 경로:
    • 포자는 비바람과 빗방울의 튐 현상을 통해 나무 사이를 이동합니다.
    • 동물과 곤충의 활동, 가지치기 도구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 상처가 난 가지나 바늘잎을 통해 병원균이 침투합니다.

3. 증상

  • 초기 증상:
    • 새로 자라는 바늘잎의 끝이 갈색으로 변하며 성장이 멈추고 짧고 왜소하게 보입니다.
    • 감염이 심한 가지는 수지가 과다 분비되며, 이로 인해 고사한 바늘잎이 가지에 붙어 있습니다.
  • 진행 증상:
    • 하단 가지부터 시작해 위쪽으로 점차적으로 바늘잎과 가지가 말라 죽습니다.
    • 감염된 가지와 줄기에는 암종(cankers)이 형성되며, 가지 끝이 급격히 고사합니다.
    • 바늘잎의 기저부나 솔방울에는 작은 검은색의 과립형 포자낭(피크니디아)가 형성됩니다.
  • 장기적 영향:
    • 연속 감염이 발생하면 나무의 성장이 저해되며, 심한 경우 나무 전체가 고사합니다.

4. 피해 범위

디플로디아 순마름병은 주로 성숙한 나무에서 많이 발생하며, 환경적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욱 악화됩니다.

  • 오스트리아 소나무는 가장 취약하며, 스코틀랜드 소나무(Pinus sylvestris), 무고 소나무(Pinus mugo) 등도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소나무 외에 가문비나무(Norway, Blue Spruce)와 전나무(Douglas-fir)도 감염될 수 있으나, 주로 상처나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에만 감염됩니다.

5. 관리 방법

문화적 관리

  1. 나무 스트레스 최소화:
    • 가뭄 시 정기적으로 물을 주어 수분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 과도한 질소 비료를 피하고 균형 잡힌 비료를 사용합니다.
    • 나무가 적절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수종을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2. 위생적 관리:
    • 감염된 가지와 솔방울을 가지치기하고 제거한 후 소각합니다.
    • 가지치기는 반드시 건조한 날에 수행하고, 가지치기 도구는 사용 후 알코올(70%)로 소독합니다.
    • 감염된 낙엽과 솔방울을 수거하여 폐기함으로써 병원균의 번식을 차단합니다.

화학적 방제

  • 살균제 사용:
    • 봄철 새 가지가 나오기 시작할 때 프로피코나졸 또는 칼륨 중탄산염을 살포합니다.
    • 필요에 따라 새싹이 절반 정도 자랐을 때와 바늘잎이 완전히 나올 때 추가 살포를 실시합니다.
  • 전문 방제: 고가치 나무나 큰 나무의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살균제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6. 결론

디플로디아 순마름병은 다양한 소나무 종에서 발생하며, 환경적 스트레스와 관리 부족이 병 발생을 가속화합니다. 병원균은 가지, 잎, 솔방울에서 월동하며 습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확산됩니다. 효과적인 관리 방안으로는 나무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위생적 관리와 적절한 살균제 처리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