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cospora 잎마름병(Cercospora Spp.)

Cercospora 병 요약 보고서

1. 병명 및 원인균

  • 병명: Cercospora 잎마름병
  • 원인균: Cercospora spp.

2. 증상

  1. 잎에 회색 또는 갈색 반점이 발생하고 심하면 잎이 말라 죽음
  2. 수분에 젖은 반점이 잎에 발생한 후 회색으로 변하고 조직이 괴사
  3. 초기에는 잎에 노란색 반점, 이후 갈색으로 변하면서 중심이 함몰됨. 병이 심하면 열매에 흑색 병반이 생김

3. 병 발생 요인

  • 환경적 요인: 고온다습한 조건(25-30°C), 높은 상대습도(90-100%)​
  • 전파: 바람, 빗물에 의한 포자 비산 및 병든 식물 잔재
  • 영양 결핍: 질소와 칼륨 부족 시 감염이 심화됨​

4. 경제적 피해

  • 생산량 감소: 최대 60% 이상의 수확량 손실​
  • 질적 저하: 감염된 잎과 열매는 상품 가치가 저하됨​

5. 진단 및 병원균 동정

  • 형태학적 관찰: 렌즈형의 포자와 분생포자경이 확인됨
  • 분자생물학적 방법: ITS 유전자 영역의 PCR 분석을 통한 동정

6. 병 방제 방법

  1. 화학적 방제:
    • 효과적인 살균제: 헥사코나졸, 카벤다짐, 보르도액 (Bordeaux Mixture)​
    • 보르도액: 구리 성분이 병원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남​
  2. 생물학적 방제:
    • Trichoderma spp. 사용: 병원균의 포자 형성 억제 및 항진균 효과​
    • 소변 추출물 (Cow Urine): 친환경적이며 병원균의 성장과 전파를 억제​
  3. 식물 추출물:
    • 마늘 추출물과 님오일: 항균 물질로 병원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
  4. 재배 관리:
    • 작물 윤작: 비숙주 작물을 심어 병원균의 생존을 차단.
    • 위생 관리: 병든 식물 잔재를 제거하여 2차 감염 방지​

7. 결론

Cercospora 병은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며,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발병이 심화된다. 보르도액과 Trichoderma를 활용한 친환경 방제가 효과적이며, 작물 위생 관리와 영양 결핍 예방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화학적 방제와 생물학적 방제를 통합한 관리가 권장된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