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Cenangium ferruginosum)

피목가지마름병은 Cenangium ferruginosum이라는 내생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특히 Pinus koraiensis (한국잣나무)에 치명적입니다. 이 병은 주로 나무가 스트레스, 특히 가뭄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1. 원인균:
    Cenangium ferruginosum은 건강한 소나무에서 내생균으로 존재하지만, 가뭄이나 극심한 온도와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병원성으로 전환됩니다​.
  2. 발병 조건:
    • 가뭄으로 인한 수분 부족은 소나무의 저항성을 약화시킵니다.
    • 방어 관련 유전자 및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균 물질의 생산이 감소하면서 균이 활성화됩니다​.
  3. 병 증상:
    • 바늘잎 괴사 (Necrosis) 발생.
    • 점차 가지, 줄기까지 확산되어 나무 전체가 고사합니다.
    • 비감염 스트레스 환경에서는 단순한 잎 시들림 증상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진단:
    특정 프라이머(CfF, CfR)를 이용한 PCR 검사를 통해 Cenangium ferruginosum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1. 예방적 관리

  1. 수분 관리 및 가뭄 방지
    • 주기적 관수: 가뭄 시 적절한 관수를 통해 수분 부족을 최소화합니다.
    • 토양 수분 유지: 멀칭(mulching) 등으로 토양의 수분 증발을 방지합니다.
    • 배수 관리: 과습 환경도 나무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 상태를 점검합니다.
  2. 건강한 나무 관리
    • 영양 공급: 적절한 비료를 사용해 나무의 건강 상태를 유지합니다.
    • 나무 손상 최소화: 가지치기나 벌목 등으로 인한 물리적 상처는 병원균 침입의 통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밀도 조절: 잎의 밀도를 조절해 공기 순환을 개선하고 병 발생을 억제합니다.
  3. 조기 진단 및 모니터링
    • 병 초기에는 바늘잎의 괴사와 같은 증상이 관찰되므로 정기적인 나무 상태 점검이 필요합니다.
    • PCR 진단법과 같은 유전자 검사를 활용하여 Cenangium ferruginosum 감염 여부를 조기에 확인합니다​.

2. 병든 나무 및 감염 부위 관리

  1. 감염 부위 제거
    • 병든 가지와 바늘잎은 즉시 잘라내어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합니다.
    • 감염된 나무 부위를 제거할 때는 위생적인 작업 도구를 사용하고 작업 후 소독해야 합니다.
  2. 감염 나무 격리 및 폐기
    • 감염된 나무는 주변 나무로 병원균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격리하고 제거해야 합니다.
    • 제거된 나무와 가지는 소각 또는 위생적으로 폐기합니다.

3. 화학적 방제

  1. 살균제 처리
    • 초기 감염 시 구리계 살균제(예: 보르도액)를 사용하여 병원균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가뭄이 예측될 때 예방적 살균제를 살포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2. 항진균제 사용
    • 트리아졸계와 같은 항진균제를 사용하면 Cenangium ferruginosum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단, 장기적으로 항진균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성분을 교체해 사용해야 합니다.

결론

피목가지마름병의 방제는 가뭄 관리, 조기 진단, 병든 부위 제거, 화학적·생물학적 방제를 종합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특히 나무가 가뭄과 같은 스트레스에 취약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병 발생 초기부터 체계적인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Ryu et al. (2018). Drought-induced susceptibility for Cenangium ferruginosum leads to progression of Cenangium-dieback disease in Pinus koraiensis. Scientific Reports, 8:16368. DOI: 10.1038/s41598-018-34318-6​.

Lee et al. (2014). Effects of Water Stress on the Endophytic Fungal Communities of Pinus koraiensis Needles Infected by Cenangium ferruginosum. Mycobiology, 42(4): 331–338. DOI: 10.5941/MYCO.2014.42.4.331​.

Kunca & Leontovyč (2013). Pines dieback caused by Cenangium ferruginosum in Slovakia in 2012. Folia Oecologica, 40:220–224.

Kim & Kim (2009). Cenangium Dieback Associated with Cenangium ferruginosum.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23:361–368.

Sinclair & Lyon (2005). Diseases of Trees and Shrub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