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소나무재선충에 관한 요약 보고서


1. 소나무재선충의 개요

소나무재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 시들음병 (Pine Wilt Disease, PWD)을 일으키는 병원성 선충입니다. 주로 소나무류(Pinus spp.)와 같은 침엽수에 피해를 주며, 감염 시 나무는 급속히 고사합니다​​.

  • 발생 지역: 북미가 원산지이지만 아시아(일본, 한국, 중국)와 유럽(포르투갈, 스페인) 등지로 확산되었습니다​.
  • 주요 매개충: 소나무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 (Monochamus spp.)와 같은 매개충을 통해 이동합니다.

2. 소나무재선충의 생물학적 특성

소나무재선충은 두 가지 주요 생활사를 가집니다​:

  1. 증식 단계: 소나무 내부에서 식물 세포를 섭취하며 증식합니다.
  2. 전파 단계: 환경이 불리할 때, 생존을 위해 dauer-like stage로 변화하여 매개충을 통해 새로운 나무로 전파됩니다.
    • 특히 D3 (3기 휴면기 유충)는 먹이 활동이 활발하며 내구성이 높고, D4 (4기 휴면기 유충)는 먹이를 섭취하지 않으며 이동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매개충을 통한 전파

소나무재선충의 전파는 솔수염하늘소북방수염하늘소의 성충 활동(섭식 및 산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산란 시 전파:
    • 감염된 나무에서 우화한 솔수염하늘소는 건강한 나무에 산란하며 소나무재선충을 전파합니다.
    • 연구 결과, 감염목에서 우화한 성충의 약 38.3%가 5,000마리 이상의 재선충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 섭식 시 전파:
    • 성충이 건강한 소나무 가지를 섭식할 때 상처를 통해 소나무재선충이 나무 내부로 침투합니다​.
    • 연구에서 재선충은 매개충 몸에서 평균 34.9일 (솔수염하늘소)23.9일 (북방수염하늘소) 동안 이탈하였으며, 2주 이내에 가장 활발히 이탈하였습니다.

4. 병리학적 메커니즘

소나무재선충은 나무 조직 내에서 다음과 같은 피해를 유발합니다​:

  1. 식물 세포 파괴: 세포벽 분해효소(GH45 셀룰라제, PL3 펙타이트 리아제)를 통해 조직을 파괴하며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2. 스트레스 반응: 산화환원 효소 및 해독 효소를 분비하여 나무의 방어 기작을 무력화합니다.
  3. 증식과 이동: 감염된 나무에서 수백만 마리까지 증식하며 나무 전체로 확산됩니다.

5. 방제 전략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1. 매개충 관리: 성충 방제 및 유충 시기 소나무를 제거하여 솔수염하늘소의 개체 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내병성 소나무 육성: 분자적 탐지를 활용한 저항성 품종 육성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3. 감염목 제거: 감염된 나무를 신속히 제거하여 확산을 막아야 합니다.

결론

소나무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매개충을 통해 전파되며, 나무 조직을 파괴하여 급속한 고사를 유발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매개충의 생활사 이해와 내병성 품종 육성이 필요하며, 감염목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