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Armillaria root rot)

1. 병원체

  •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은 Armillaria 속의 여러 종에 의해 발생합니다.
  • 주요 병원체: Armillaria solidipes (A. ostoyae), A. mellea, A. gallica, A. cepistipes 등이 있습니다​​.

2. 감염 숙주

  • 대부분의 수목 종을 감염시킬 수 있으며, 침엽수 및 활엽수림에서 주요 문제를 일으킵니다​​.
  • 침엽수림의 경우, 소나무(Pinus sylvestris), 가문비나무(Picea abies), 전나무(Abies spp.)가 주요 숙주입니다​.

3. 감염 기작 및 증상

  • 주요 감염 경로:
    • 뿌리 접촉 및 균사체(마이셀리움) 확산
    • 리조모프(rhizomorphs, 균사끈)를 통해 감염이 확산됨​.
    • 버섯(자실체) 생성 시 포자를 통한 감염은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 증상:
    • 균사선(Mycelial fans): 나무의 껍질 아래에서 발견되는 흰색 균사층
    • 리조모프: 뿌리와 토양 속에 존재하는 검은 색 실 모양의 구조물​.
    • 나무 줄기 부근의 수지 유출백색부패 발생
    • 나무의 위축 및 잎 황변: 천천히 진행되는 위축 및 죽음​.

4. 병해 발생 및 영향

  • 병해는 나무의 뿌리를 파괴하여 수분 및 영양분 흡수를 방해합니다.
  • 감염된 나무는 기계적 실패(쓰러짐)나 곤충과 같은 2차 병해에 쉽게 노출됩니다.
  • 생태적 영향:
    • 나무의 사망으로 인해 숲의 구조 변화(패치 형태) 및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 경제적 영향:
    • 감염된 나무의 생장 저하 및 사망으로 목재 생산 감소
    • 산림 경영 비용 증가​.

5. 관리 및 방제

  • 저항성 수종 관리:
    • 일부 수종(예: 포플러, 자작나무)은 상대적으로 병에 강합니다.
  • 병해 중심 관리:
    • 감염 지역을 중심으로 병을 관리하고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 적용
  • 그루터기 제거:
    • 병원체의 영구 생존을 차단하기 위해 감염된 나무의 그루터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물학적 제어:
    • 연구 중이지만, 경쟁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병원체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결론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은 광범위한 수종을 감염시키는 주요 병해로, 숲의 구조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효과적인 관리 전략은 감염 지역 모니터링, 저항성 수종 선택, 감염된 목재 및 뿌리 제거를 포함해야 합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생물학적 방제와 같은 새로운 방법이 개발될 수 있습니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