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학명: Cydalima perspectalis
- 속: Cydalima
- 분류: 곤충강, 나비목, 명나방과(Crambidae)
- 회양목명나방은 주로 회양목(Buxus)을 기주로 하는 외래 해충으로, 나뭇잎과 가지를 갉아먹어 피해를 줍니다. 유럽, 아시아, 북미 등지에서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주요 회양목 피해 해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주요 특징
- 외형:
- 성충은 날개를 펼쳤을 때 약 4cm 크기이며, 날개는 흰색 바탕에 갈색 가장자리 무늬가 있음.
- 유충은 녹색을 띠며 몸에는 검은 줄무늬와 흰 점이 배열.
- 번데기는 녹황색으로, 누에고치 형태로 회양목 가지에 부착.
- 생태:
- 성충은 야행성으로 주로 밤에 활동.
- 낮 동안은 회양목 주변에 숨어 있다가 저녁에 산란.
- 주로 따뜻한 계절에 활동하며 연 3~4회 발생.
3. 생활사
회양목명나방의 생활사는 월별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월 | 발달 단계 | 설명 |
---|---|---|
1월 | 휴면 단계 | 유충 상태로 가지 내부에서 월동. |
2월 | 휴면 단계 | 여전히 월동 상태 유지. |
3월 | 월동 유충 활동 개시 | 기온 상승에 따라 월동 유충이 깨어나 활동 시작. |
4월 | 유충 성장 | 유충이 잎과 줄기를 갉아먹으며 성장. |
5월 | 번데기 형성 | 성장한 유충이 번데기로 변태. |
6월 | 성충 출현 | 번데기에서 성충이 부화하여 짝짓기 및 산란 활동 시작. |
7월 | 산란 및 유충 발생 | 성충이 산란한 알에서 유충이 부화하여 피해를 가중. |
8월 | 유충과 번데기 혼재 | 일부 유충은 성장 중이며 일부는 번데기로 변태. |
9월 | 성충 활동 및 산란 | 추가 세대 성충이 출현하여 활동. |
10월 | 유충 활동 감소 | 온도 하강으로 유충의 활동이 줄어들며, 월동 준비. |
11월 | 월동 준비 | 유충이 가지 내부로 이동하여 월동 준비. |
12월 | 월동 단계 | 유충 상태로 가지 내부에서 월동. |
4. 피해 및 영향
- 피해 작물: 회양목
- 피해 방식:
- 유충이 회양목 잎과 줄기를 갉아먹어 잎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떨어짐.
- 심한 경우 회양목 전체가 말라죽음.
- 생태계 영향:
- 회양목의 급격한 감소는 조경 및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5. 관리 및 방제 방법
- 물리적 방제:
- 피해 초기 알과 유충을 제거.
- 가지를 잘라 태우거나 폐기.
- 화학적 방제:
- 유충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 적절한 살충제 사용.
- 살포 시기를 조절하여 효과를 극대화.
- 생물학적 방제:
- 천적 곤충(예: 기생 말벌) 도입.
- 친환경 농약이나 미생물 살충제를 이용.
6. 예방 방안
- 정기적인 회양목 상태 점검 및 피해 조기 발견.
- 가지 사이에 숨어 있는 월동 유충 제거.
- 성충의 산란을 막기 위한 방충망이나 보호재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