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나무 잉크병(Phytophthora katsurae)

1. 질병 개요

밤나무 잉크병(Chestnut Ink Disease)은 주로 밤나무(Castanea spp.)에 발생하며, 병원체는 Phytophthora katsurae입니다. 이 병은 나무의 줄기, 뿌리, 잎에 영향을 미쳐 생장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2. 주요 병원체 특성

  • 병원체: Phytophthora katsurae
  • 감염 부위: 뿌리와 줄기의 감염으로 인한 잉크색 액체 분비와 껍질의 괴사 부위가 주요 증상입니다.
  • 특징: 균사체는 homothallic oogonia(34.0-46.2 μm)와 amphigynous antheridia를 포함하며, sporangia는 papillate 형태로 크기는 17.0-38.9 μm입니다.

3. 발생 지역 및 배경

  • 최초 보고: 일본에서 1931년 Phytophthora castaneae로 보고되었으나, 1979년 P. katsurae로 재분류되었습니다.
  • 한국에서의 보고: 2005년 경남 하동과 합천 지역에서 발견되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었습니다.
  • 세계적 확산: 미국, 유럽, 일본, 뉴질랜드 등에서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기후와 환경에서 발생 가능.

4.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

  • 병원체 분리 및 특성화
    • 병원체는 감염된 조직 및 주변 토양에서 분리.
    •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일본과 뉴질랜드의 P. katsurae와 99.6~100% 일치함을 확인.
  • 병리학적 특징
    • 병원성 검증 실험에서 품종 간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남.
    • 병원체는 주로 배수가 잘되지 않는 토양에서 발생하며, 뿌리의 괴사를 유발해 나무 전체를 말라 죽게 만듦.
  • 환경 요인 연구
    • 물의 성분, 빛, β-시토스테롤 첨가 여부가 병원체의 생장 및 포자 형성에 영향을 미침.
    • 필터링된 시냇물에서 스포랑기아가 활발히 형성되었으며, 증광 조건에서도 효과적.
  • 진단 및 유전적 분석
    • PCR-SSCP 기법으로 병원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
    • ITS, β-tubuli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 부위를 이용한 다중 분석이 효과적.

5. 방제 방법

  • 예방적 관리:
    • 배수 개선 및 과도한 습기 방지.
    • 저항성 품종 개발 및 재배.
  • 화학적 방제:
    • 인산염 계열 살균제 사용.
  • 생물학적 방제: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길항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 연구 진행 중.

6. 결론 및 시사점

밤나무 잉크병은 한국과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밤나무 재배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유전적 분석과 진단 기술의 발전은 효과적인 방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 방안을 통해 잉크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밤나무 재배 농가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해야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