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원균
- Guignardia aesculi 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다.
- Phyllosticta sphaeropsoidea라는 무성생식 단계와 Leptodothiorella aesculicola라는 유성생식 단계가 존재합니다.
2. 병징 (증상)
- 초기 증상
- 잎에 물에 젖은 불규칙한 반점이 나타납니다.
- 며칠 내에 반점은 적갈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며, 노란 테두리가 형성됩니다.
- 진행된 증상
- 반점들이 합쳐져 잎의 넓은 부분을 덮게 됩니다.
- 병든 조직에는 검은색 점들(분포자기)이 형성되며, 이는 병원균이 방출되는 장소입니다.
- 심한 경우 잎이 말리거나 비틀어지며, 조기 낙엽이 발생합니다.
- 기타 특징
- 잎의 병반 외에도 잎자루에 작은 적갈색 반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발생 환경 및 확산
- 기후 조건
- 높은 습도와 비가 많은 환경에서 병이 빠르게 확산됩니다.
- 감염된 낙엽에서 겨울 동안 병원균이 살아남으며, 봄철 습한 날씨에 자낭포자를 방출해 1차 감염이 시작됩니다.
- 전염 경로
- 병원균의 분포자기에서 분출된 포자가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전파됩니다.
- 감염은 잎 표면을 통해 시작되며, 포자가 부착기를 형성하여 표피에 침입합니다.
4. 감염 피해
- 감염이 심하면 잎의 조기 낙엽이 발생하여 나무의 광합성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 수목의 생장 둔화와 함께 미관상 가치도 크게 떨어집니다.
- 특히 도시 경관수로 사용되는 마로니에(Aesculus hippocastanum)에서 병의 영향이 두드러집니다.
5. 방제 방법
- 예방적 방제
- 감염된 낙엽 수거 및 소각을 통해 병원균의 월동을 방지합니다.
- 통풍과 수분 조절을 위해 나무의 밀도를 낮추고 적절한 관리를 시행합니다.
- 화학적 방제
-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감염 초기에 살포해야 효과적입니다.
- 통합적 관리
- 병징 모니터링을 통해 병 발생 초기 단계에서 감지합니다.
- 환경 관리와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통합적 관리(IPM)를 적용합니다.
결론
칠엽수 얼룩무늬병은 Guignardia aesculi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확산됩니다. 감염은 잎에 갈색 반점과 검은 분포자기를 형성하며, 심할 경우 조기 낙엽을 유발합니다. 적절한 환경 관리와 예방적 조치를 통해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