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류 잎떨림병(Lophodermium seditiosum)

1. 병원균

  • Lophodermium seditiosum
  • 소나무류의 침엽에 영향을 미치며, 조기 낙엽을 유발해 나무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2. 발생 환경

  • 기후 조건:
    • 습도와 강우량이 높은 환경에서 활발하게 발생합니다.
    • 겨울과 봄철에 온도와 습도가 적당히 유지될 경우 균의 확산이 촉진됩니다.

3. 병징 (증상)

  • 침엽에 작은 황색 반점이 생성되고 반점이 점차 확대되면서 갈변합니다.
  • 감염이 심해지면 조기 낙엽이 발생합니다.

4. 병원균의 생활사

  • 봄~여름:
    • 병원균이 감염된 침엽에서 잠복.
  • 가을~겨울:
    • 감염된 침엽이 지상으로 떨어지면 자낭포자를 생산.
    • 자낭포자는 습한 환경에서 방출되어 새로운 침엽에 감염.
  • 전염:
    • 바람이나 빗물을 통해 포자가 확산.

5. 예방 및 방제

  • 예방적 방제
    • 밀식되어 있는 나무들은 가지치기와 간벌을 통해 통풍 개선.
    •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배수로를 설치하여 토양의 과습 방지.
  • 물리적 방제
    • 감염된 가지 또는 잎을 제거하여 병원균 확산 방지.
  • 화학적 방제
    • 적용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
    • 1번으로 병원균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므로 4번 이상 살포.
  • 통합적 관리 (IPM)
    • 모니터링 : 병원균의 발생 여부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초기 증상을 신속하게 발견합니다.
    • 병징 진단 : 잎과 가지의 색 변화, 조기 낙엽 등의 증상을 분석하여 정확히 진단합니다.
    • 예방적 조치 : 환경 관리, 수종 선택, 낙엽 제거 등 예방 조치를 철저히 시행합니다.
    • 화학적 방제는 최소화하되 감염 확산 시 신속하게 적용합니다.

결론

Lophodermium seditiosum에 의한 소나무 잎떨림병은 주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잎의 조기 낙엽을 유발해 소나무류의 생장을 저해하는 질병입니다. 관리와 방제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 조절, 감염된 침엽 제거, 화학적 방제가 필요합니다. 또한 수목의 장기적 건강을 위해 지속 가능한 방제 전략이 중요합니다.


참조:

  1. Lophodermium seditiosum 병원균 특성과 관련 연구
    • Minter, D. W., Staley, J. M., & Millar, C. S. (1978). Four species of Lophodermium on Pinus sylvestris.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1, 295–301.
    • Reignoux, S. N. A., Green, S., & Ennos, R. A. (2014).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cryptic Lophodermium species in natural populations of Scots pine. Fungal Biology, 118(9-10), 835–845.
  2. 소나무류 잎떨림병의 발생 환경 및 병징
    • Osono, T., & Hirose, D. (2011). Colonization and lignin decomposition of pine needle litter by Lophodermium pinastri. Forest Pathology, 41, 156–162.
  3. 화학적 방제와 살균제 사용
    • Carbone, I., & Kohn, L. M. (1999). A method for designing primer sets for speciation studies in filamentous ascomycetes. Mycologia, 91(3), 553–556.
    • Wang, S. J., Lin, Y. R., Hou, C. L., Gao, X. M., & Yang, Z. Z. (2010). A preliminary study on phylogeny of Lophodermium based on rDNA-ITS sequences. Mycosystema, 29, 199–205.
  4. 생물학적 방제와 친환경적 접근법
    • Koukol, O., & Baldrian, P. (2012). Intergeneric variability in enzyme production of microfungi from pine litter.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49, 1–3.
    • Osono, T., & Hirose, D. (2011). Fungal communities and decomposition of lignin in forest ecosystems. Forest Pathology, 41, 156–162.
  5. 통합적 병해관리 (IPM)
    • Burnett, J. H. (1983). Speciation in fungi.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81, 1–14.
    • Mitchell, C. P., & Millar, C. S. (1978). Mycofloral successions on Corsican pine needles colonized on the tree by three different fungi.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1, 303–317.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